건강한 신앙생활을 유지하려면 잘 모이고, 잘 먹고, 잘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부모님의 생신이 되어서 자녀들이 모입니다.
어쩌다 한, 두번 빠지는 것은 이해가 되겠지만 혹 명절이나 생신 때마다 이런, 저런 핑계로 자꾸 빠지는 사람이 있다면 일단은 효심을 의심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시간을 내어서 모였으면 '음식'을 함께 먹어야 합니다.
아무리 멀리서 힘들게 왔어도 '음식을 함께 먹는 시간'이 없다면 그 모임은 '가족'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모였으면 맛있게 음식을 먹어야 할 것이고, 먹으면서 이런저런 삶의 애환을 숨김없이 나눌 수 있는 '대화의 시간'이 있어야만 '진짜 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모였지만 음식을 먹지 않고 헤어진다거나, 음식은 먹지만 아무런 대화 없이 먹기만 하다가 헤어진다면 다음, 그다음 만남이 이어질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을 것입니다.
여러분 '교회가 교회답다'라는 것은 말씀을 따라서 매주일마다 모이는 모임에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성실하게 주일을 지켜서 모이며 예배를 드립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흔들리는 생각과 마음을 다잡기 위해서 우리는 말씀을 먹습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주신 생명의 양식으로서 우리의 생각과 마음을 굳건하게 해 주는 '영의 양식'입니다.
이 '영의 양식'을 공급받으므로 세상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내가 어떤 사람인가를 분명하게 밝힐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물론 예배를 잘 드린 그리스도인(성도)은 말씀 공부를 충실하게 감당할 것이고, 한걸음 더 나아가 예배당을 나선 이후에 우리가 어떻게 살았는지를 서로가 확인하고, 위로하며 서로 축복하는 '목장모임'을 통하여 힘을 얻어서 당당한 그리스도인(성도)으로 살아가기로 결단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마치 모든 것을 아는 것처럼 말씀에서 멀어지거나, 예배에 소홀하거나, 목장모임마저 심드렁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렇기에 말씀으로 우리의 삶을 부단하게 검증해야 합니다.
"왜 삶공부를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왜 음식을 꼭 먹어야 합니까?"라는 어리석은 질문과도 같습니다.
아직도 늦지 않았습니다. 오늘 기회가 내 앞에 있습니다.
오늘 결정하시면 우리 삶에 놀라운 변화가 시작될 것입니다! (임군학 목사)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첨부 파일 |
---|---|---|---|---|---|
249 | 왜! '삶 공부'를 해야 할까요? | 관리자 | 2025-09-14 | 7 | |
248 | 헤어짐의 축복 | 관리자 | 2025-09-07 | 14 | |
247 | "목사님한테 가 봐" | 관리자 | 2025-08-31 | 22 | |
246 | "나의 죄를 보는 훈련" | 관리자 | 2025-08-24 | 31 | |
245 | 영적 성장을 보여주는 신호 | 관리자 | 2025-08-17 | 27 | |
244 | "꾸준함이 능력입니다" | 관리자 | 2025-08-10 | 33 | |
243 | 고난이 우리에게 주는 유익 | 관리자 | 2025-08-03 | 29 | |
242 | 가정교회는 잘 될 수밖에 없습니다 | 관리자 | 2025-07-27 | 34 | |
241 | 영광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기 위해서 우리가 숙지하고 있어야 할 내용 | 관리자 | 2025-07-20 | 38 | |
240 | 지난 주간 872차 평세를 섬기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 관리자 | 2025-07-13 | 37 | |
239 | 목숨을 걸어야 됩니다 | 관리자 | 2025-07-06 | 41 | |
238 | 제872차 평신도 세미나 | 관리자 | 2025-06-29 | 38 | |
237 | 『영적 성장을 보여주는 신호(Indicator)』 | 관리자 | 2025-06-22 | 41 | |
236 | "작심삼일(作心三日)을 해결하려면" | 관리자 | 2025-06-15 | 47 | |
235 | "우리의 믿음은, 기대치입니다." | 관리자 | 2025-06-08 | 44 |
댓글